-
1.
- 관광학 전공 석사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WU LIRO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
2.
-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3.
- 한국어 학위논문 국문 초록의 장르 분석적 연구 : 미디어학과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 DING YUJ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
4.
- 동화구연 기법을 활용한 화법 수업이 노인화자의 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to Storytelling Class on th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of the Elderly
- 문수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
5.
- 여성 노인 화자의 음성에 대한 임상가 기반 CAPE-V, GRBAS 평가의 신뢰도
- 차승현, 대구대학교, [2015]
-
6.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장르 분석 연구 : 행정학 전공 석사 학위 논문 서론을 중심으로
- 양소희, 이화여자대학교, [2020]
-
7.
- 日本語の感情表現における知覚と発話の特徴 : 大邱方言話者の日本語学習者と東京方言話者との比較 = 日本語의 感情表現에 있어서의 知覚과 発話의 特徴
- 이연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8.
-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정미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9.
- 신경언어장애군의 동사 중재를 위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반 동사 의미역 특징 연구 = Machine learning-base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matic roles for verb intervention of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 patients
- 박채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10.
- 한국어 공손표현의 인지정서적 기능 연구 = Research for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of Politeness Expression in Korean
- 곽자랑,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