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明治維新 前後史의 再解析 : '海洋에토스'의 發現 過程을 中心으로
- 홍정기, 西江大學校, [1991]
-
2.
-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한 대안적 역사 쓰기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 1945>가 다시 쓰는 해방전후사를 중심으로
- 권주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
3.
- 민족분단과 통일에 대한 한국기독교의 입장
- 전병생, 한신대학, [1986]
-
4.
- 조기잡이 어로민요와 닻배의 민속지적 고찰 = The folklore study about ctroaker fishing songs and 'Dat Bae' boats
- 이윤선,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2]
-
5.
- 1950년대 문학의 성장 서사와 냉전적 교양주의 = A Study on ‘Cold-War Bildungsroman’ in the 1950s Korea
- 반재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5]
-
6.
- 프로무용수의 신체구성, 기초체력과 골밀도 수준에 관한 연구 = (The)study on the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level in professional dancers
- 김제영, 중앙대학교, [2004]
-
7.
-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A study of Rev.Heenam Kang's minjung theory of reunification
- 홍성표, 한신대학교, [2017]
-
8.
- 第3共和國 國家權力의 正當性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legitimacy of state powers in the 3rd republic of Korea
- 박서형, 暻園大學校, [2010]
-
9.
- 戰後障害者政策の生成 : 福祉·雇用法の日韓比較
- 김난구, 東京經濟大學, [1996]
-
10.
- Siegfried Lenz의 「독일어시간(Deutschstunde)」에 나타난 독일적 소시민성 연구 = (Eine) Studie uber das deutsche Kleinburgertum in Siegfried Lenz Roman "Deutschstunde"
- 신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