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가곡의 지도방법 연구 : 신작가곡 「그대 그리움」,「눈」,「내 맘의 강물」,「강 건너 봄이 오듯」을 중심으로
- 박대웅,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2.
- 중국고시사(古詩詞) 예술가곡 연구 : 송사(宋词)를 텍스트로 한 현대 신작 중심으로 = Research on Chinese Classical Poetry Art Songs
- 리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3.
- 김동진의 예술가곡 연구 : 김동진의 초기 가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t Song of Kim, Dong-jin
- 오성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
4.
- 2007 개정 7차 교육과정 의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한국 가곡 조사 연구 : 중학교 1학년
- 홍현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5.
- 최근 사회문화적 경향에 따른 한국 가곡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및 고찰 : MZ 세대의 경향을 중심으로 한 성악 연주자의 관점에서 =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Korean art songs in recent socio-cultural trends : from the perspective of vocal performers, emphasizing the trends of the MZ generation
- 김예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6.
- 일제 강점기 해금 음악의 전개 양상 연구 = A study on Haegum performa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김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7.
- 남옹신보 소재평조 수대엽 및 평조 계면조 수대엽의 연구
- 김영운, 한양대학교, [1984]
-
8.
- 창작곡 「팔상성도 이야기」의 구조에 나타난 불교합창 연구 = A study of Buddhist chorus in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song "The Story of Noble Eightfold Path"
- 임관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1]
-
9.
- 창작찬불가의 작품성향 연구
- 채치성,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
10.
- 19~20세기 초기 시조 문화의 교섭 양상 연구 : 『興比賦』와 『樂府』(羅孫本)를 중심으로
- 전재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