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초등 역사교육에서 그림 사료 읽기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의 개발 : - 김준근의 풍속화를 바탕으로 - =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Pictures of Historical Paintings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Based on Kim Jun-geun's genre paintings-
- 김예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
2.
- 박물관과 학교 연게 초등 역사수업 방안 : 검단선사박물관 신석기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 Elementary School History Class Aligned with Museums- Focusing on the neolithic artifacts of Geomdan Prehistory Museum -
- 정남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3.
- 초등역사수업에서 교과서 보완적 읽기를 위한 박물관 활용 학습 방안 : -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실의 고려 시대 전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useum for Complementary Reading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History Class : Focusing on the Exhibitions of The Goryeo Dynasty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History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강대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
4.
-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형식과 내용 요소에 대한 연구 : 경기도의 시·군을 중심으로
- 정훈일, 경인교육대학교, [2017]
-
5.
- 지역 사회의 인물학습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 강릉의 율곡 이이와 오죽헌을 중심으로 = Field Trip to Historic Places for Historical figures of a community : Yulgok YiYi and Ojukheon Municipal Museum of Gangneung
- 김소희, 경인교육대학교, [2016]
-
6.
- 문자 사료 읽기 수업 실행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역사 수업을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the Instruction of Reading Historical Text : Focusing on History Class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보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
7.
- '다르게 읽기'를 활용한 중등 역사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 : 국립중앙박물관 1층 역사관을 중심으로
- 김미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
8.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교수내용지식 확장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 : 6학년 수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lementary Beginning Teacher on Social Studies : the case of sixth-grade instruction
- 이효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9.
- 초등 사회과 역사 수업에서 다문화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 경험의 이해 = Understanding Teachers’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History Class
- 강민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
10.
- 중·고등학생 대상 노인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 - 민속박물관 활용방안 - =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Docent Senior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 김수지, 경인교육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