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테마 해변 조성을 통한 어촌 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을 중심으로
- 조영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
2.
- 사회적 가치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과 미국 실용음악 교육 과정 비교 연구
- 김강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3]
-
3.
-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의 문화적 활용 방안 연구 : - 요코하마 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 = Study Upon Cultural Utilization of Living Lab Focussing : On The Case Analysis of Yokohama Living Lab
- 김경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3]
-
4.
- 서예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Role and Value of Calligraphy
- 한소윤,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
5.
- 대구 지역축제의 탄소중립 대응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Research on Carbon Neutral Respons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Local Festivals in Daegu
- 김영종,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4]
-
6.
- 군부대 이전부지를 활용한 문화적 도시재생 방향성 연구 : 부평 캠프마켓 반환 공간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former site of the military base - Focusing on the utilization plan of the return space of the Bupyeong Camp Market
- 이영복,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
7.
- 저장기억 장소로서의 문화도시 : 원주, 속초의 ‘도시예술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선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4]
-
8.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 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 Efficient Operation Strategies for Complex Cultural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 석나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4]
-
9.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적용한 영유아 문화예술교육 질적 메타종합연구 = A Qualitative Meta-Synthesis Study on Young Childre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applying the Reggio Emilia Approach
- 김선혜,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
10.
- 생활문화예술의 성장을 위한 소규모 공공지원 공간 연구 : '문화파출소 제주서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mall public support space for the activation of Art in life : With focusing on 'Munhwapachulso' in Jeju
- 오고운,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