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1건 중 151건 출력
,1/16페이지
-
1.
- 전자책 콘텐츠 제작자 인식 연구 : 플루서(Flusser)의 미디어 이론을 중심으로
- 홍정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0]
-
2.
- 문래동 예술촌의 공공예술 실천에 대한 연구 : 아도르노(Adorno)의 미메시스(mimesis) 이론을 중심으로
- 정나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
3.
- 트위터를 통한 ‘다중(Multitude)’ 형성과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 네그리와 하트의 주체구성 이론을 중심으로
- 박설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
4.
- 정치인 카페의 ‘비키니 사진’을 둘러싼 정치담론의 의미와 주체구성에 대한 연구 : 푸코의 권력담론을 중심으로
- 박정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
5.
- 문화매개자로서 미디어 생산자의아비투스 형성과 실천에 대한 연구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이론을 중심으로
- 이광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
6.
- 텔레마틱 사회의 태블릿PC 기반 전자책 이용문화 연구 : 빌렘 플루서의 코무니콜로기(Kommunikologie)를 중심으로
- 박세영,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2]
-
7.
-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대의 전자책 출판문화와 이용자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전자책 이용자들과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Qualitative Study on e-book publishment culture and e-book user's awareness in the Simulacre Age
- 권오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4]
-
8.
- 어린이의 전자책 이용과 독서 태도 변화 연구 : 플루서의 커뮤니케이션과 ‘기술적 형상’ 개념을 중심으로
- 유광수,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2]
-
9.
- 온라인 여성호명의 배제 원리와 주체구성에 관한 질적 연구 : 푸코의 주체구성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 황슬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10.
- 다중미디어시대 문화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지적노동의 쟁점 및 의미에 관한 연구
- 한찬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