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제주도 평대리 비자나무의 성체제를 고려한 보전방안 = Sexual system and conservation of Torreya uncifera in Pyeongdae-ri, Jeju island
- 신수경, 성신여자대학교, [2011]
-
2.
- 제주 생물권보전지역 내 한라산국립공원의 경관분석 : 핵심지역의 단편화 = Landscape analysis of Mt. Halla national park in a biosphere reserve, Jeju island : core area fragmentation
- 김현정, 성신여자대학교, [2007]
-
3.
- CO₂농도 증가에 따른 사초과 C3와 C4 식물의 기공 반응 = Stomatal responses of C3 and C4 Cyperus species (Cyperaceae) in Korea to elevated CO₂concentration
- 김차연, 성신여자대학교, [2012]
-
4.
- Conservation ecology and genetics of two dioecious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 신수경,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5.
- 한국 자생식물 생태와 수분매개자 네트워크에 기반한 생물다양성 보전
- 이학봉,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6.
- 서울시에 서식하는 지의류 다양성의 시.공간적 변이 =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lichens divers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 안초롱, 성신여자대학교, [2010]
-
7.
- 메이크업에 있어 시즌 컬러의 유행 경향 분석 : MAC과 Bobbi Brown 중심으로 = Trend of season color in a make-up
- 강혜순,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2]
-
8.
- 관현악 타악기 편성의 역사적 고찰
- 강혜순, 연세대학교, [1989]
-
9.
- 초인지 자각을 강조한 상호 교수법 : 학습자 중심의 ESL 읽기 책략 교육방안 = Reciprocal teaching focused on metacognitive awareness
- 강혜순, 高麗大學校, [1997]
-
10.
- 항공·관광서비스 전공자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ypes of aviation·tourism service department students : grade level as a moderating variable
- 강혜순, 세종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