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동화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형식과 은유적 상징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Unknown Lady series」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s and metaphorical symbols represented in the narrative of fairy tales : focus on my work, [Unknown lady series]
- 박지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
2.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서사문학 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하근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3.
- 제주도 역사 전설과 그 본풀이에 나타난 기억서사의 형성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as Illustrated in the Historical Legends and Bonpuri of Jeju Island
- 이소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4.
- '일상과 환상'展에 대한 작품론
- 이향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5.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시나리오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about Scenario using flipped learning
- 박아람, 부산대학교, [2018]
-
6.
- 자동차 광고 언어의 화용론적 연구 = Pragmatic Study of Automobile Advertising Language
- 박원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
7.
- 780.951긴난봉가의 음악적 연구 : 박기종 唱을 중심으로
- 김락기,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4]
-
8.
- 해금, 거문고, 장구를 위한 〈놀음III〉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oreum III〉 for Haegeum, Geomungo, and Janggu
- 김영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9.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작품 연구 :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 = (A) Study on Frank stella' Works
- 금춘화,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
10.
- 1990년대 이후 한·중 영상서사의 환상성 비교 : 영화와 TV드라마를 중심으로
- 마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