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47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경계의 모호성'과 '시선의 전복성'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mbiguity of boundaries and the subversion of gaze : focused on my works
- 이주이, 홍익대학교, [2020]
-
2.
- 타자적 영역을 점유한 시선이 형성하는 경계 감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of sense of the threshold by the gaze that occupy the realm of the others
- 최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
3.
- 경계 너머로의 상상풍경(想像風景) 연구
- 정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4.
- 근세 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nse of boundary in traditional residence in Korea, China and Japan
- 한지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
5.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문학연구 : 경계의 이탈과 전복 = A study of Ryunosuke Akutagawa's literature : a breakaway and overthrow of boundary
- 유지혜, 건국대학교, [2016]
-
6.
- 일상의 경계(境界)의식을 통한 심상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임아율,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
7.
- 무력화된 시선의 주체성 : 건축과 엿보기(시선)놀이 = Subjectivity of the sight become incapacitated between architecture and voyeurism
- 이민규,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
8.
- 전통건축에 나타난 시지각적 경계특성 연구 : 진접 여경구 가옥을 중심으로
- 오주원,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
9.
- 아돌프 로스 주택에서 나타나는 시선과 구조의 관한 연구 : 관음적 욕망의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nes of Sight and Structure in the Houses of Adolf Loos[<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f voyeuristic desire]
- 최성윤,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
-
10.
- 朝鮮時代 住居空間의 境界構造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Boundary Structure in Cho-son Dynasty Houses
- 김미나,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