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박타령"의 생태주의적 의의와 문학교육 = the ecological significance and literary education in "Pak-Ta-Ryung"
- 권민기, 부경대학교대학원, [1999]
-
2.
- <속미인곡>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여성 화자의 양상을 중심으로
- 김은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3.
- <속미인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화체 가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 김승남,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4.
- 시조창을 활용한 시조 교육 방법 연구
- 최세영,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5.
- 전래동화 교육 연구 -제7차 초등 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Centering around Korean Language Studie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ducation primary korea education Curriculum-
- 한남임, 부경대학교대학원, [2002]
-
6.
- 고산 윤선도 시조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심미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 장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7.
- 이러닝을 통한 <청산별곡>교수·학습 방안 연구
- 최혜영,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8.
- 아리랑의 의의와 교육의 필요성 =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about the folksong (Arirang)
- 박정화,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9.
- 강호시조의 생태주의적 의의와 교육 = Ecological Significance and Gangho Sijo
- 강미진, 부경대학교대학원, [2001]
-
10.
- 詞腦歌硏究 : 그 詩的 定立 과정 및 장르적 性格 = (A) Study of sanaemorae : The forming process and the character of genre
- 고순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