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곽재용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 곽재용 200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Feminity Displayed in Movies of Kwak Jae Yong : focusing on the film of Kwak Jae Yong since 2000's
- 주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
2.
- 창원 지역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교육 실태 분석 =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migrant workers in Changwon area
- 이정숙, 진주교육대학교, [2018]
-
3.
- 한국의 창원시 아파트 이름 연구 = A Study on Linguistic Aspects of the Names of the Apartment Complexes in Changwon-si, Korea
- 권인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4.
- 중도입국 자녀를 위한 놀이 중심 한국어 수업 연구 = A Study on Play-based Korean Classes for Immigra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강은성,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5.
- 한국의 기차역 안내문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어문 규범 오류 : 경전선을 중심으로 = The Korean orthography errors in the signs of the train stations in Korea : focusing on the train stations of Gyeongjeonseon
- 정지홍, 진주교육대학교, [2019]
-
6.
-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관용어 현황과 비교 = Current State and Comparison of Idioms in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in Middle School
- 정영남,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7.
- 1980년대 민중가요에 나타난 한국인 정서 분석 = Korean's emotion analysis mentioned by the popular song in the 1980's
- 문경미, 진주교육대학교, [2018]
-
8.
- 한국의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1 textbooks in Korea :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김윤혜, 진주교육대학교, [2015]
-
9.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준별 관용표현 목록 선정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 List of Idioms by Level for Korean as a Foreign Learners
- 류지혜, 진주교육대학교, [2021]
-
10.
- 한국 전래동화 『빨간부채 파란부채』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방안 : 중도입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Method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Red Fan and Blue Fan』 : Focusing on Immigrant Elementary School Student
- 성홍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