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73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現行敎科書政策의 問題分析에 關한 硏究
- 강구도, 高麗大學校, [1993]
-
2.
- 知識基盤社會의 敎科書 및 敎科書政策에 관한 硏究 : 電子敎科書 制度 導入 展望과 發展 方向을 중심으로
- 강대양, 고려대학교, [2003]
-
3.
- 일제시대의 음악교육정책 :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e Policy of Musical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노은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
4.
- 지역수준 영어교육강화정책에 대한 현장연구:충남‘영어교과서외우기 정책’사례 = A Practitioner’s Report on a Local Government’s English Education Policy: Textbook Memorization in Chung-Nam Province
- 박선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5.
- 디지털교과서 정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정광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
6.
- 한국사교과서의 국정화 결정과정 분석 : 다중흐름모형(MS)과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결합모형을 중심으로
- 신현영, 성균관대학교, [2016]
-
7.
- 한국사 교과서 재국정화 정책형성과정 분석 : Kingdon 다중흐름모형의 적용 = The Analysis on Policy Formation Process of the Government Redesigned Korean History Textbook: Based on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 강은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
8.
- 韓國의 敎科書 政策 過程의 妥當性 分析 硏究 = (An) analytical study on the textbook policy processes in Republic of Korea
- 김승훈,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
9.
-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Digital Textbook Program in South Korea : The Goal Ambiguity - Conflict Matrix Revisited = 디지털 교과서 정책 집행 과정 연구: 정책 목표의 모호성과 갈등 모형을 중심으로
- 윤혜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
10.
- 조선총독부의 중등 역사교과서 정책과 조선사의 편제 변화 =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 policy and ‘Korean History’ organization
- 허미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