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부현요, 德成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
2.
-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 장한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3.
- 경영학 전공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쓰기 교재 개발 연구
-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2016]
-
4.
-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학 교육·연구동향
- 徐迎迎,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
5.
- 한국과 몽골의 문화 및 교육 발전 교류 양태에 관한 연구 =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patterns between Korea and Mongolia
- 이진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
6.
- 미술과와 영어과의 통합 지도 방안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황선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7.
- 간호사의 흡입기 사용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
8.
- 「아테네 헌장」(1931) 제정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 = A Policy Network Analysis of the Athens Charter for the Restoration of Historic Monuments(1931)
- 주남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9.
- 韓國學 硏究 現況과 問題點 : 歐美에서의 한국학을 중심으로 = On the situations and the problems of Korean Studies : Centered on Korean Studies in Europe and America
- 이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