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0건 중 250건 출력
,1/25페이지
-
1.
- 태권도 수련이 유아의 누리과정 신체운동영역에 미치는 영향
- 김진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
2.
- 누리교육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태 조사 연구 = The Research about Playing Outside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 한보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3.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녹색성장교육 : 활동 분석, 교사의 활용에 따른 유아의 녹색생활태도에의 효과 및 활용 후 교사평가 = Green growth education of the 「5 years Nuri curriculum manual」: activity analysis, effects of teacher's practice on the child's green life attitude and teacher's after-use evaluation
- 한효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4.
-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적용에 관한 연구 = Study on teachers' practice of Nuri-curriculum for five-year-old children
- 이수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5.
- 유아 통합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2019 개정누리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integrated dance education for infants : focusing on the revised nuri-programs in 2019
- 진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6.
- 누리과정의 역사교육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Teachers' Perception of History Education under Nuri Curriculum
- 최윤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7.
- 생활주제에 따른 3세, 4세, 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연계성 분석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 박미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8.
-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활용수준과 교사효능감 및 운영개선방향 인식 =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Nuri Curriculum utilization and teachers’ efficacy, awareness of improving their management
- 최은영, 동국대학교, [2014]
-
9.
- ‘독산누리사회적협동조합’ 참여자의 활동 경험과 그 의미 = The Experience in ‘Doksannuri School Cooperative’ and its Meanings to the Participants
- 홍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10.
-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홍서안,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