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4건 중 104건 출력
,1/11페이지
-
1.
- 한국 민속놀이의 생태학적 분석 및 유아교육적 가치연구 = A study of the ecological analysis and educational value in early childhood of Korean traditional games
- 김은경, 동국대학교, [2014]
-
2.
- 불교 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dramatic activites using Buddhist fairy tales on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he considerate thinking of young children
- 최미영, 동국대학교, [2017]
-
3.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수학적 태도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hythmical Activity Using Animation on Early Childhood's Musical Interest, Mathematical Attitude and Linguistic Expression
- 최지은, 동국대학교, [2017]
-
4.
- 자타카(Jātaka)를 활용한 버디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공감적 이해 및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uddy Activities using Jātaka on Young Children's Moral judgement and Empathic Understanding, Caring thingking
- 서소영, 동국대학교, [2017]
-
5.
-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타인정서인식 및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박근영, 동국대학교, [2017]
-
6.
- 불교 동화 속 시간개념이 유아의 정서인식과 그리기 표상능력 및 불교개념 획득에 미치는 효과
- 김세인, 동국대학교, [2014]
-
7.
-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 Tea Ceremony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 김순임, 동국대학교, [2005]
-
8.
-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과 「소학(小學)」에 나타난 아동교육 연구 = A Study on Childhood Education Found in Chobalsimjagyeongmun and Sohak
- 한혜경, 동국대학교, [2006]
-
9.
-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생명 사상 연구 = A Study on Life Thought Found in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 전경은, 동국대학교, [2006]
-
10.
- 생명사상을 기초로 한 불교 유아교육과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Life
- 고성민, 동국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