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다중 인지갈등 상황에서 전구의 밝기에 관한 개념 일관성 정도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개념변화 과정 = The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changes on the brightness of electric bulb by the consistencies of a conception in the multiple cognitive conflict situations
- 정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
2.
- Lakatos 연구프로그램을 적용한 원운동 수업에서 핵과 보호대를 차별화한 수업전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구조변화와 반응유형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Teaching Strategies by Core and Protective Belt Using Lakatosian Research Program on the Conceptual Structure Changes and the Responses of Preservice Primary Teachers in Circular Motion Lessons
- 정성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
3.
- 초등학생의 과학 본성에 대한 견해와 과학학습과의 관계 = Elementary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lationships to their science learning
- 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4.
- 인지갈등 유발 유형에 따른 농업계와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 Cognitive conflict levels of agricultural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y the types of arousing cognitive conflict
- 박효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5.
- 작용·반작용과 전기회로에서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응답특성 분석 = (The) Analyses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conflict levels on action-reaction and electric circuits tasks
- 홍정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6.
- 전구의 연결에서 현상제시 순서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 Student'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The order of tasks on demonstrations of electric bulbs in different circuits
- 황명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7.
-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이 중학교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on creativity enhancement of the gifted in middle school science
- 오현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8.
- 힘 개념 검사문항(FCI)에서 제시되는 그림이 학생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companying figures in force concept inventory on students' response
- 황진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
9.
- 개념도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중학생들의 마찰전기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formation in static electricity
- 황혜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10.
- 도선 내 전하의 운동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의 개념 =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n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s in a conducting wire
- 오효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