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NSM을 이용한 한국어 ‘기쁘다’류 심리형용사의 의미 분석과 기술
- 이정목,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
2.
- 한국어 '기쁘다' 유사 어휘군의 의미론적 연구
- 정회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
3.
- 말뭉치 기반 ‘기쁘다’와 ‘즐겁다’의 의미 차이와 사용 양상 = A Corpus-based Study on the meaning and use aspect Differences between ‘Gippeuda’ and ‘Jeulgeopda’
- LI Y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
4.
- (The) concept map and dimensionality of hope 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
- 기쁘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
5.
- 한국어 감정형용사의 교육 방안
- 배윤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
6.
- 한국어 감정동사의 의미 특성 연구 : ‘기쁨’류와 ‘분노’류 유의어의 공기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Emotional Verbs : Focusing on the Co-occurrence Relation of Synonyms in the ‘Joy’ and ‘Anger’ Categories
- XIAO SHENNIAN, 전남대학교, [2024]
-
7.
- 영화와 다큐멘터리가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 비교 :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사례로 = How much different students' learning effects are between moives and documentary films about Gwangju Uprising
- 김태우, 서울시립대학교, [2009]
-
8.
-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 최유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
9.
- 시선추적기술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AAC 감정상징 인식 연구
- 박형용,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10.
- 협동학습이론을 적용한 핸드벨 합주 지도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 이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