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4건 중 114건 출력
,1/12페이지
-
1.
- 정읍농악 설장구놀이와 영무장농악 설장구놀이 비교 연구 : 유지화와 김동언의 설장구놀이 장단을 중심으로
- 유정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
2.
- 우도농악 설장구 가락 분석 : 김동언 가락을 중심으로 = Rhythmic Patterns Analysis of Udo nong-ak Seoljanggu
- 장호정, 용인대학교, [2012]
-
3.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체언+용언'형 연어 연구 = A study on the '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collo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이숙진, 강남대학교, [2018]
-
4.
- 스리랑카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근로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ri Lankan workers : Focusing on analysing of workers need
- Ranaweera, Ranaweerage Mimmi Surekha Ranaweera,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5.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 파생 접사 선정 연구 = A Study on Selection of the List of Derived Chinese Characters for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 천진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6.
- 한국어 이유·원인 연결표현 연구
- 김희은, 강남대학교, [2017]
-
7.
- 기업 박물관의 다양화에 따른 방향성(方向性) 연구 = Analyz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rporate Museum in Korea Corresponding to Diversification
- 장재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
8.
- 한국수어의 비우세손에 관한 언어학적 특성 연구 = The study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dominant hand in Korean sign language
- 이주애, 강남대학교, [2017]
-
9.
- 한국어 교재의 속담 연구 = A study on the proverb in Korean texbook
- 전순기, 강남대학교, [2019]
-
10.
- 꿈의 오케스트라사업 발전방안 연구
- 조민지,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