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프로그램 모델의 개발 = Development of reading one book a semester program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 정해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2.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 연구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Textbooks to Promote Academic Literacy of Immigrant Youth -Focusing on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 최재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3.
- KWL 학습 전략의 교과 학습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 연구 : 초등 6학년 국어·사회·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박지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4.
- 초등학생의 텍스트 기반 흥미 유발 요인 및 학년별 차이 분석 : 이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ext-based interest factors and differences by grade- Based on story text - Based on story text -
- 임지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5.
- 읽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자기 주도적 개별화 독서 수행 알고리즘의 개발 =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Individualized Reading Performance Algorithm for improving the Reading Self-efficacy
- 백희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6.
- 안식일과 주일에 관한 신학적 연구
- 김봉순, 광신대학교, [2014]
-
7.
- 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 = Research on markers of text-structure /
- 김봉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
8.
- 읽기 평가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f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 김봉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
9.
- 공동교수 중심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 Co-teaching Based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 Attitude toward Them
- 김봉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
10.
- 초등 저학년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정서이해의 특성 : - 정서재인, 정서조망수용, 정서추론 -
- 김봉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