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교재 질문 개발 연구
- 박진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
2.
- 필리핀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 음성 산출 실험 및 청취 실험을 바탕으로
- 최유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3.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활동 연구 : 듣고 재구성하기(Dictogloss)를 중심으로
- 김승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
4.
- 한국어 초급 단계를 위한 반의어 제시 방안 연구 : 동사·형용사 중심으로
- 진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
5.
- 한국어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 문법 수업을 대상으로
- 이미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
6.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 드라마 대본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왕아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7.
- 카드뉴스 방식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 전현지, 경기대학교, [2018]
-
8.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주제별 기본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 김영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9.
-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위한 연결 어미 선정 연구 : 복잡성에 따른 나이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10.
- 실존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원장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 앙가주망을 중심으로
- 원성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