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김숨 소설의 환상성 연구
- 박은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
2.
- 해방기 한인 디아스포라의 귀환 공간 1947 부산과 문학적 기억 : 김숨의 「잃어버린 사람」을 중심으로 = Spaces of Return in the Korean Diaspora during Emancipation 1947 Busan and Literary Memory: based on 「The Lost Man」 of Kim Soom
- 정화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
3.
- 증언문학의 문학적 진실과 애도 : 김숨 'L의 운동화'를 중심으로
- 신서영, 동국대학교, [2020]
-
4.
-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공원'의 장소성 연구 : 김사과, 천명관, 김숨의 소설을 중심으로
- 정지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
5.
- 일본군 '위안부' 증언소설 연구 : 윤정모, 임철우, 김원일, 김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ovels of ‘Comfort Women’'s Testimony : Focused on Yun Jeongmo, Im Cheolwoo, Kim Weonil and Kim Sum
- 김민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
6.
- 김숨 단편소설의 대화 기법 연구
- 나푸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7.
- 김숨 소설의 모빌리티 구현 양상 : 일제강점기 역사재현 서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bility Implementation Aspects of Kim Soom?s Novels -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 김유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
8.
- 한국과 인도네시아 위안부 소재 소설 비교 연구 : 김숨의『한 명』및 Enang Rokajat Asura의『Jugun Ianfu: Jangan Panggil Aku Miyako』중심으로
- Tresnawati, Salim Eka,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
9.
- 2000년 이후 단편소설에 나타난 가족해체 양상 연구 : 김숨, 서하진, 윤성희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정예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
10.
- 전지구적 기억 서사로서의 ‘위안부’ 서사 :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와 『우리는 어떻게 사라졌는가』(How We Disappeared)를 중심으로 = The ‘comfort women’ narrative as a global memory narrative: based on Listening to Your Inner Voices: Painful Yet Noble and How We Disappeared
- 니오, 후이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