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미학의 학적 체계화를 위한 연구 : '한국미 자연성' 논의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scientific systematization of Korean Aesthetics : - Focused on the concept of ‘Naturality’ of Korean Aesthetics
- 김민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2.
- 전통 분청사기와 현대 분청사기의 관계성 : 해학성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Buncheong wares and contemporary Buncheong wares : focused on the humor
- 이효근, 원광대학교, [2014]
-
3.
- 철화분청사기 기법을 활용한 조형 연구
- 인치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
4.
- 釜山地域 墳墓出土 新式陶質土器 硏究 = A Study on the New-style Pottery Excavated in the Tomb in Busan Region
- 배효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
5.
- 한글의 새로운 조형성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표현 연구 = New Image Expression in Modeling of Hangeul
- 호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
6.
- 한국 산지(山地)의 선(線)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터크 기법을 중심으로
- 서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
7.
- Organic art furniture design에 관한 연구 : 식물(연리지(連理枝))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 김경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
8.
- 牧隱 李穡 天人無間思想의 美學的 硏究
- 조병수, 성균관대학교, [2017]
-
9.
- 장욱진의 〈자화상〉 연구 : 1951년 작과 1973년 작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이주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5]
-
10.
- 우성 김종영 작품의 범자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pan-natual properties of Kim, Chong-Yung' sculptures
- 황찬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