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초등 사회 교과서의 김구 관련 내용 분석 : 해방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cription about KimKu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 Focused on Activities after Liberation of Korea
- 김소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
2.
- 성장소설에서의 배경의 역할
- 강미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
3.
- 유엔(UN) 기관의 기후변화교육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UN Agency's Climate Change Education
- 김슬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4.
- 고려인 어린이의 한국어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학습 자료 분석 : 한국어 교육 웹사이트와 한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earning materials for improving Koryoin children's Korean literacy :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bsites and Hangeul school textbook
- 송채원, 서울교육대학교, [2018]
-
5.
- 신문자료를 활용한 문화재 학습의 실제 : 초등사회과 4학년 2학기 역사관련수업을 중심으로 = Cultual properties education using newspaper as a teaching aid
- 석은준, 서울교육대학교, [2005]
-
6.
- 초등 사회과교과서의 대한민국 정부수립 관련 서술내용 분석 : 근대국가 형성(The formation of modern state)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description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centered on the formation of modern state
- 권용호, 서울교육대학교, [2018]
-
7.
- 초등 사회 교과서의 여성 인물 관련 내용분석 :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ontext of Female Charac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Focu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 김미령,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
8.
-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 비교 = Comparing the descriptions of the Russo-Japanese war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 서인애, 서울교육대학교, [2016]
-
9.
- 일인칭 소설의 개연성과 그 일반화
- 이정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
10.
- 초등사회과 교과서의 백두산 관련 역사 서술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historical part about Baekdu mountai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focused on change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 박혜린, 서울교육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