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초등학생 자녀를 둔 탈북여성의 학부모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강영순, 서울여자대학교, [2018]
-
2.
-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심리적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of adolescents prior to discharge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 홍예영, 서울여자대학교, [2017]
-
3.
- 가족기능평가를 위한 임상평정척도 개발연구 = Instrument Development of Clinical Rating Scale for Family Functioning Evaluation
- 박진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
4.
- 난임여성의 심신 프로그램 참여 체험 연구 =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Lived Experiences of Infertile Women Participating in Mind-Body Program
- 하영윤,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
5.
- 이야기치료 개입을 통한 아동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 A study of child's identity formation process in Narrative therapy
- 최지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6.
- 어머니의 정체감 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의 차이에 관한 연구 -자폐 스펙트럼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정유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7.
- 성인애착, 우울 및 탄력성의 관계
- 김진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
8.
- 폐섬유아세포에서 clusterin이 collagen과 fibronectin 생성에 미치는 조절 효과 = Regulationg effect of clusterin on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fibronectin in lung fibroblast
- 김상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
9.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김이랑,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
10.
- 성적 소수자가 인지한 사회적 지지와 소수자 스트레스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Minority Stress on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mong Sexual Minorities
- 김유숙,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