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Ac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ism : The case of rapidly transforming South Korea = 다문화주의 정책 대안으로서의 “문화동화정책” (“acculturalism”) : 급변하는 대한민국 사례를 중심으로
- Lee, Reginald J,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17]
-
2.
-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 한국 사회에서의 소비주의 발달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 Natthaya, Sattayaphongphan,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12]
-
3.
- 미국의 북핵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 행정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United States' policy toward North Korea's nuclear issue : focusing on the Clinton and Bush administrations
- 장경방,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22]
-
4.
- 한국 새마을운동과 베트남 농촌개발운동의 추진방식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Implementation Mechanism and Effect of Saemaeul Movement in Korea and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in Vietnam
- Tran, Huu Tri,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16]
-
5.
- 북핵 사례를 통한 동맹안보딜레마의 이론적 고찰 = Reconsideration of the alliance security dilemma : North Korea's Nuclear Issue
- 진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
6.
- Strategic shifts in East Asia : a critical appraisal of american presence, the role of its allies and the response of china = 미 오바마 정부의 재군형정책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 동맹국의 역할과 중국의 반응을 중심으로
- Nawaz, Adil,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15]
-
7.
- Multiculturalism and citizenship in South Korea : the impact of Korean identity on multiculturalism
- Zmire, Zeljana,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20]
-
8.
- 한국 영어교육에 있어 원어민 교사들의 범문화적 소통에 관한 연구 = Far From Home: Native English Teachers' Intercultural Communications in South Korea
- Nicole Jody Shipton, 한양대학교, [2011]
-
9.
- 한국의 대중국 외교정책의 변화 요인 분석 : 탈냉전 이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of Korea's foreign policy towards China : focusing on post-cold war
- 양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10.
- (The) impact of changing China-U.S. rela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 담설평,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