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추정남·김청만의 판소리고법 자진모리 연구 : 이난초·김수연의 춘향가 신연맞이를 중심으로
- 박준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8]
-
2.
- 동초제 흥보가 中 놀보 박타는 대목 고법 비교분석 연구 : 김동준·김청만의 북가락을 중심으로
- 임효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3.
- 박봉술제 〈적벽가〉 中 ‘당당한 유현주’, ‘고당상’ 대목에 나타난 김청만의 판소리고법 변화양상 : 1980~1990년대 안숙선 소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Transition in Kim Cheong-man's Pansori Drumming Style Showcased in the 'Confident Yoo Hyeon-ju' and 'Godangsang' Sections of Park Bong-sul School's 〈Jeokbyeokga〉 : Focusing on the Song of Ahn Sook-sun in the 1980s and 1990s
- 심준보, 한국예술종합학교, [2024]
-
4.
-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반주 형태 연구 : 김동준, 김청만의 연주를 중심으로
- 한혜령,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
5.
- 김청묵의 "마림바 조곡(Suite for Marimba Solo)" 분석 연구
- 김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
6.
- 유대봉제 백인영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장단 연구 : 김청만 장단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Jinyang Rhythmic Pattern of Baek In-Young-Type Gayageum Sanjo in the School of the Yu Dae-Bong
- 박재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
7.
- 김동준·김청만의 산조 장단 형태 비교 연구 : 김죽파류 가야금산조의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the Sanjo Beat Forms of Dong-joon Kim and Cheong-man Kim : Focus on the Fimori, Jajinmori and Jungjungmori rhythm in Kim Juk Pa's-style Gayageum sanjo
- 이경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
8.
- 상황의 가변성으로 만나는 열린 주체로서의 관계성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 김청신,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9.
- 2020년대 한국 SF 영화와 포스트휴먼 비평 = Korean science fiction film and post-human criticism in the 2020s
- 고유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
10.
- 한국 합창곡 변화 연구 : 국립합창단 창단연주곡을 시점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Choral Music (Focus on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erformance Program)
- 장영숙, 수원대학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