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9건 중 129건 출력
,1/13페이지
-
1.
- 학교 예술강사 되어가기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 명의 공예, 디자인 강사를 중심으로 = A Narrative Inquiry of Becoming School Teaching Artist
- 유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2.
- 어린이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채소군 식행동 및 선호도 조사 = A study on the food behavior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and vegetabl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아, 수원대학교, [2021]
-
3.
-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대체 요리 교육 방법에 관한 요구도 조사 = A survey of child care teacher' perceptions about food allergies and demands on alternative culinary education methods
- 심진미, 수원대학교, [2021]
-
4.
-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의 정체성 구축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 A life history study on the identity constructing process of teaching artists
- 전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5.
- 비대면 시각문화예술교육 현황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Untac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김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6.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프로그램 개발 : 사유의 방을 중심으로 = National Museum of Kore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ogram : Focusing on the A Room of Quiet Contemplation
- 장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
7.
-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연구
- 주보영, 서울대학교, [2017]
-
8.
- 만화매체 활용을 통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연구 : 중학교 통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상미, 서울대학교, [2018]
-
9.
- 국립현대미술관의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등 4학년 미술 수업 실행 연구 = 4th grade visual arts education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MMCA’s online program
- 김지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10.
-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저널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 The Educational Values and Application of Visual Journal in Art Education for Life
- 류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