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브랜드아이덴티티 디자인 수업방안 연구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 Study on Teaching Brand Identity Design Class
- 권이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2.
- 지역기반 벽화프로젝트 활동이 가족공동체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충남 보령시 궁촌 1동의 두 가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gion-based Wall Painting Project on Family : Centering on 2 families from Gungchon1 dong, Boryeong si, Chungcheongnam do
- 조성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
3.
- 보령지역 향토사료를 활용한 국사교육 방안 연구
- 성낙찬, 원광대학교, [2010]
-
4.
- 水沒地域住民의 移住特性에 관한 연구 : 保寧市 嵋山面 3個里를 事例로
- 이기복,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
5.
- 글로벌축제를 위한 지표 도출 및 국내 대표 축제(진주남강유등축제와 보령머드축제)에 대한 적용·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ore Index for Global Festival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Representative Festivals such as Jinju Yudeung Festival and Boryeong Mud Festival
- 최예진,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9]
-
6.
- 나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ject approach concerning "myself" on the self-concept and social :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장진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7.
- 지역관광브랜드와 지역애착도 및 브랜드 지지도의 관계 : 보령시 주민을 대상으로
- 박상규, 순천향대학교, [2011]
-
8.
- 기후변화를 고려한 보령댐 비상도수로시설 운영방안
- 임건묵,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
9.
- 댐 유입량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수문학적 가뭄 분석 : 충주댐,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dam inflow time series data : for Chungju and Boryeong dam watershed
- 윤영선, 건국대학교, [2017]
-
10.
- 충남 보령 폐석면광산지역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강아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