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나홍진 영화의 모호성 연구
- 김정수,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8]
-
2.
- 나홍진의 영화 <곡성>(2016)에 나타난 공포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the Horror Image in Na Hong-jin's Movie <The Wailing>(2016)
- 정건매,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3.
- 자본의 위기와 계급, 육체, 그리고 폭력 재현의 변화 : 나홍진 영화를 중심으로 = Capital Crisis, Class, Body and Changes of Violence Representation:Centering on Films Made by Hong-jin Na
- 심은주, 동국대학교, [2016]
-
4.
- 장편시나리오〈엄마가 필요해〉창작보고서
- 박상혁,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
5.
- 실화 기반 영화 중 유괴 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연구 : 단편영화 <이별>을 중심으로 = It's a movie based on a true story a film study on kidnapping - Focusing on the short film <Farewell>
- 쑨루이,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6.
- 당대 한국영화 속의 “복수”의 문화적 재현에 대한 연구 : 영화 <아저씨>, <악마를 보았다>,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을 중심으로
- 채지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
7.
- 한국영화의 내‧외적 흥행요인 분석을 통한 시대성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box office factors of Korean films :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10s
- 황찬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
8.
- 한국 스릴러 영화 속 여성의 표현 양상 연구 : 2000년대 이후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Women in Korean Thriller Films: Focusing on Korean Films after the 2000s
- 이승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