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초등영어교사의 말하기 피드백과 쓰기 피드백의 효과 비교
- 이은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2.
- 초등영어 학습자와 교사의 어휘학습전략 활용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and teachers
- 홍지희, 서울교육대학교, [2018]
-
3.
- 초등영어 교과서 부록 활용 실태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부록의 요건 제안 = Investigating Some Requisites for Good Supplementary Materials in the Primary English Textbooks: Based on Teacher Responses
- 소영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
4.
- 영화자료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지도 실행연구 = Using Films for Teaching Primary English: An Action Research
- 이정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
5.
- 초등영어 수업에서 모둠 구성 방식에 따른 상호질문기법의 효과 분석 =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Learner Grouping Types on Reciprocal Questioning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 장정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6.
- 초등 영어 학습자를 위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업 운영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 Exploring how to exploit story retelling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ing : an action research
- 이승연, 서울교육대학교, [2018]
-
7.
- 송사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사건대응 양상 연구 = Incident response patterns of the women appeared to lawsuit novels research
- 김윤경,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
8.
- 초등영어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수준별 활동의 적정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adequacy of the level differentiated task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guides
- 이선미, 서울교육대학교, [2015]
-
9.
- 효과적인 초등영어 문화교육을 위한 문화내용 선정 방안 연구 = A Study on Selecting Contents for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 허혜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
10.
- 초등영어 블렌디드 수업에서 부진 학생 지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Slow Learners in Elementary English Blended Classes
- 황소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