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05건 중 305건 출력
,1/31페이지
-
1.
- 온대중부지방 느티나무림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 계곡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of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in the Middle Temperate Region, Korea:In Case of Ungilsan(Mt.) Sujongsa(Temple) Valley, Namyangju, Gyeonggido
- 강지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
2.
- 도서관 기반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 : 느티나무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안다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
3.
- 작은 도서관의 커뮤니티 활동과 사회적 가치 : 경기도 용인 '느티나무 도서관' 사례
- 굴잔,카비셰바,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
-
4.
- 수간(樹幹)의 부분절단과 유인을 통한 느티나무 수형 교정 연구
- 손동구, 경북대학교, [2017]
-
5.
- 목조건축문화유산 느티나무 기둥부재 공급 전략에 필요한 충청 전라지역 느티나무의 양적 질적 생장 조사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Investigation of Zelkova serrata in the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Determine the Supply Strategy for Zelkova Pillars in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 김준연,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6.
- 丹楓色이 黃色 또는 赤色系統인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新品種 育成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cultivars showing either yellow or red leaf fall color in Zelkova serrata Makino
- 박형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7]
-
7.
- 지상 LiDAR 측량을 통한 입목재적량 부위별 추정에 관한 연구 : 느티나무 및 벚나무 가로수 개별목을 대상으로
- 린지아이, 서울대학교, [2019]
-
8.
- 산벚나무와 느티나무의 연계양묘 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nection nursery system of Prunus sargentii and Zelkova serrata
- 이종화, 건국대학교, [2015]
-
9.
- 주요 수종의 복토에 따른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 소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 김민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
10.
- 부여군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실태 연구
- 이삼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