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제7차 교육과정 국정교과서『국사』와 대안교과서의 비교분석
- 승명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2.
- 韓國의 敎科書 政策 過程의 妥當性 分析 硏究 = (An) analytical study on the textbook policy processes in Republic of Korea
- 김승훈,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
3.
- 국정 중등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담론 연구
- 조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4.
- 심미적 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미적 체험 내용 분석 : 캐롤의 미적 체험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 이기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5.
- 어린이를 위한 국내 지식그림책의 미래설계 : 전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시리즈물 출판기획 전략을 중심으로 = Designing Domestic Knowledge Picture Books for Children
- 박은지,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
6.
- Harold Rugg 사회과 교과서의 구조와 논리 : 『An introduction to problems of American culture』중심으로 = (The) Structure and logic of a Harold Rugg's social studies textbook ; 『An introduction to problems of American culture』
- 정혜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
7.
- 교과서의 시민사회 개념 분석 = (A) study on civil society concept of text book
- 양해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8.
- 평화교육 관점을 적용한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통일교육 내용 분석 및 보완 방향 연구
- 정은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9.
- 역사교육에 학계의 연구 성과 반영 방안 : 식민지 경제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 원형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10.
- 캐나다 초등 사회과의 소수자 교육 :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 Minor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n Canada
- 정경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