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7건 중 137건 출력
,1/14페이지
-
1.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 분석 : -'박물관 교육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 An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A basis of analysis 'Components of Museum Education'
- 조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
2.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 근현대사아카데미 시범운영을 중심으로
- 문외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
3.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정치성 분석 : 1945년~1948년 전시를 중심으로 = A Political Analysis on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홍지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4.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전시 구성과 내용 분석 : 3전시실(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play ideolog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노현정, 서울교육대학교, [2015]
-
5.
- 경교장,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백범김구기념관, 독립기념관의 임시정부 관련 전시 분석 : 역사학습 활용의 연계성을 위하여
- 최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
6.
- 뮤지엄 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 문해력 신장 방안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improvement of historic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useum Education : focused on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문정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
7.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픽토그램 디자인 연구
- 유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
8.
- 미시사(微視史)적 관점을 활용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스토리텔링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xhibition stroytelling Using Microhistorical perspective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장승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
9.
-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디지털박물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inforcement of digital museum experience using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이종기, 한양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
10.
- 추체험 학습을 적용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program applying re-enactment learning : focused on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박혜원, 서울교육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