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3.11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일본 재난문학 연구
- 최가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
2.
- 2011 Mw 9.0 동일본대지진 기원 일본 열도 상부지각 지진파 이방성 특성
- 김일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
3.
- 동일본대지진 T파 신호 분석 및 우리나라 동해로의 전파 양상 연구 = Analysis of T-wave generated by Tohoku earthquake and the propagation modeling on the East Sea
- 류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4.
- 동일본대지진 전·후 소비자 안전 민감도 변화에 따른 일본 수산물 수입수요함수 추정 : 인터넷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한보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
5.
- GNSS 관측자료를 이용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한국의 지각변동량 해석에 관한 연구
- 정태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6.
- 한국 언론과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 뉴스구성에 관한 연구 : 동일본대지진 관련 한일 공영방송(KBS와 NHK) 저녁 종합뉴스 내용 분석
- 홍선화,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2]
-
7.
- 포용적 재난피해자 구호 정책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5]
-
8.
- 일본의 새로운 공공성과 시민사회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김은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
9.
- 일본 현대문화 속의 혐한 연구
- 노윤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10.
- 기업의 사업연속성 확보를 위한 자원 중요도에 대한 연구 : ISO 22301 운영전략 8대 자원 요구사항 중심 =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resource to ensure business continuity of enterprises : focusing on the eight resource requirements of ISO 22301
- 박장영, 숭실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