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경기12잡가 중 집장가 비교 연구 : 묵계월 · 이은주 소리를 중심으로
- 이채은,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23]
-
2.
- 경기 12잡가 中 <소춘향가> 비교연구 : 안비취·묵계월·이은주의 선율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a Small Chun-hyang Song of 12 Gyeonggi Folk Songs : Centered on Bi-chui Ahn·Gye-wol Mook·Eun-ju Yi’s Melody
- 김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3.
- 서도민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산염불, 자진염불’ 비교연구 : 묵계월, 오복녀의 소리 선율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itive study on Seodo folk song, <Gin-Nanbongga, Jagin-Nanbongga>, <San-Yeombul, Jagin-Yeombul>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melody of Gye-wol Mook and Bok-nyeo O
- 주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4.
- 경기 12잡가 中 <십장가> 비교연구 : 안비취·묵계월·이은주 선율 중심으로
- 이혜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5.
- 경기민요 명창 묵계월의 생애사 연구
- 정경숙,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
6.
- 송서 삼설기의 선율 구조 연구 : 묵계월 창을 중심으로 = (A)study on the melodic structure of Songseo 'Sam sol gi'
- 박영화, 용인대학교, [2006]
-
7.
- 경기 12잡가 中 "방물가" 비교연구 : 이창배, 묵계월, 임정란의 선율에 기하여 = A Comparison study of Bangmulga in Gyeongi Japga : focused on Lee Changbae, Muk Gyewol, Leem Jeongran's melody
- 김세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
8.
- 경기 12잡가 中 <소춘향가> 비교연구 : 안비취·묵계월·이은주의 선율중심으로
- 김민지, 이화여자대학교, [2018]
-
9.
- <밀양아리랑>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 연구
- 곽동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2]
-
10.
- <노랫가락> 해금선율 연구 : 김봉업(金奉業)·지영희(池暎熙)·김영재(金泳宰)의 연주를 중심으로 = "Noraetgarak" Study in Comparison of Haegeum's Melody :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play of Bong-Eop Kim, Yeong-Hui Ji, and Yeong-Jae Kim
- 김지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