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조선 후기 문예에 보이는 '몸의 욕망 긍정'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s of ‘affirmation of body desire’ in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우지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2.
- 식민지기 조선·대만의 고등교육기관 문예활동 비교연구 : 학내 잡지 및 일본어 문예물을 중심으로
- 김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3.
- 중국 신소설 담론의 시대적 욕망과 문예미학적 사유 = (A)study on the desire of the times and literature-aesthetic thoughts in discussions on new novels in China
- 정해리, 全南大學校, [2007]
-
4.
- 동양사상의 해체적 자아관과 水墨藝術의 醜美性 연구
- 김혜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
5.
- 『名媛詩歸』소재 조선전기 여성 한시 연구 = A Study on Women's Poet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Myungwonsigwi』
- 양, 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
6.
- 조선후기 사대부 초상화찬 연구
- 김기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
7.
- 해방 후 한국 현대시론의 형성 과정 연구
- 최호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
8.
- 朴泰遠 小說 硏究 = (A) Study on the Park,Tae-won's novels
- 임소월,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3]
-
9.
- 中國 新感覺派의 美的 모더니티 研究
- 김명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
10.
- 1920년대 <살로메> 번역 연구 : 번역 공간, 유미주의, 작품의 기호화를 중심으로
- 금보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