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북한 단소 교본 분석연구 : - 『조선민족악기총서 제1권 <단소편>』을 중심으로 - = Analyzing the North Korean Danso Textbook -Centering on "Danso," Volume 1 of the Korean National Musical Instrument Collection.-
- 김진섭,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
2.
- 1990년대 기획출판과 중국 문단의 변화 : 《부라오후총서》를 중심으로 = 1990年代出版策劃與中國文壇的變化:以《布老虎叢書》?例
- 송자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3.
- 『新潮』의 '西化'와 학술 지향에 관한 연구 : 蔡元培, 陳獨秀, 胡適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김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4.
- 한국무용 공연현황 및 마케팅 전략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수미, 단국대학교, [2005]
-
5.
- 余華 小說 硏究
- 전혜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
6.
- Barbey d'Aurevilly, revolution et contre-revolution (1846-1852)
- 고봉만, Universite> des sciences humaines de Strasbourg, [1995]
-
7.
- ≪今天≫(1978-1980) 雜誌 硏究
- 김종석,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
8.
- 담정(?庭) 김려(金?) 문학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Works by Damjeong Kim Ryeo
- 홍진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9.
- 명말 백화단편소설집 《형세언》연구 : 劉美源 = 明末白話短篇小說集 《型世言》硏究
- 劉美源, 南京大學, [2000]
-
10.
- 李德懋의 『耳目口心書』 硏究
- 임영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