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文學の敎育的な可能性 : 島崎藤村の『破戒』を中心に = 문학의 교육적인 가능성 -시마자키도손의『파계』를 중심으로-
- 소영섭,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2.
- 일제강점기 鄕土敎育 연구 : 역사‧지리 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l Educ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 With a Focus on the History and Geography textbook
- 문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3.
- 近代 韓日 兒童文化敎育 關係史 硏究 : 1895-1945 = (A) study of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Korean & Japanese children's cultural education : from 1895-1945
- 대죽성미,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2]
-
4.
-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주체구성 과정과 상징적 네트워크로서 근대 경제 체제 연구 = A study on modern economic system as symbolic network and subjectivization in Yi Kwang-soo’s work
- 전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
5.
- 주제명 표목의 패싯 구조화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6.
- 『캔터베리 이야기』에 나타난 서양 중세 문화
- 김세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7.
- 한ㆍ중 '童話' 개념의 정착 및 변화과정 연구
- 남해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
8.
- 金進洙의「燕京雜詠」연구
- 김현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
9.
-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 연구 : 방정환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재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
10.
- 栗谷 經世思想의 立論 體系
- 조용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