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귀족 여성 화가와 아카데미 : 고야의 <남편을 그리는 비야프랑카 후작 부인> = Spanish Noble Woman as Artist and the Academy: Goya's Marchioness of Villafranca Painting Her Husband
- 엄소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2.
- 전후 ‘문학 세대’ 형성 연구 :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 코쑤, 리디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3.
- 大江健三郞의『個人的な 體驗』分析 : 主人公의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 Personal Experience of Oe Kenzaburo : Focusing on the identity of main character
- 장혜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4.
- 근대(1898-1945) 하얼빈 도시문화공간과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Space and Urban Image of Harbin City in Modern Times (1898-1945)
- 맹신여,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4]
-
5.
- 채윤일 연출 연구 : <산씻김>과 <영월행 일기>중심으로
- 이자순, 단국대학교, [2008]
-
6.
-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의 전형화된 여성이미지 연구 = Typified woman image in the works of John William Waterhouse
- 정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7.
- 19세기 드레스덴 풍경화에 나타난 낭만화된 세계
- 이화진, 이화여자대학교, [2018]
-
8.
-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 Representation of Ganan-affect in 1970s Korean Fiction
- 이정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
9.
- 李清照研究 以女性意识和 愁 为中心
- 한신, 군산대학교, [2022]
-
10.
- <華山仙界錄> 硏究
- 정재윤,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