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불안정한 자아 : 존 던의 『노래와 소네트』 연구
- 이유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
2.
- 존 밀턴의 청교도적 국가정체성과 제국주의 연구 = Protestant National Identity and Imperialism in John Milton
- 최세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
3.
- 비극의 틀에 담긴 기사들의 모험 : 토마스 말로리의 『아서왕의 죽음』의 「발린 이야기」와 「성배 이야기」 연구 = "The Tale of Balyn" and "The Noble Tale of the Sankgreal" as Tragedy : A Study of Malory's Le Morte Darthur
- 김요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
4.
- Tudor Anxieties : Nation, Religion, and Gender in Book I of The Faerie Queene
- 김현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
5.
- 존 밀턴의 작품에 드러난 내적 갈등의 양상 : 『코머스』, 『복낙원』, 『투사 삼손』연구 = Towards the Drama of Interiority : A Study of Milton's Comus, Paradise Regained and Samson Agonistes
- 이세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
6.
- 하녀에서 귀부인으로 : 사무엘 리처드슨의 『파멜라』(Pamela)를 중심으로 = From a Servant to a Lady : Samuel Richardson's Pamela
- 김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
7.
- 창조에서 해체로 : 마가렛 캐빈디쉬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과 욕망, 그리고 여성 유토피아
- 조아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
8.
- 프랜시스 버니의 저항의 목소리 : 『이블리나』와 『세실리아』를 중심으로
- 은경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
9.
- 혼종성과 모방의 탈식민 정치학 : 아체베의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와 나이폴의 『흉내내는 사람들』
- 권성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
10.
- 교훈과 즐거움의 재고 : 탄생기 아동문학의 형성 과정
- 이세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