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59건 중 359건 출력
,1/36페이지
-
1.
- 국악미사곡 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f Masses mad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김은주,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
2.
- 윤용선 작곡 세 미사곡 연구 : 미사곡Ⅰ, 미사곡Ⅱ, 축일 미사곡의 통상문 중심으로 = A study on three Masses of Yoon, Yong Sun
- 남시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3.
- 전례 안에서 국악성가의 오르간 반주를 위한 제언 : <한얼미사곡>을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organ accompaniment in the traditional korean mass piece : focusing on Haneul Mass
- 김은화,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7]
-
4.
- 바르톨루치의 교창미사곡 「천사(De Angelis)」연구
- 홍수정, 동아대학교, [2007]
-
5.
- 팔레스트리나의 작곡 양식에 관한 연구 :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의 음악과 언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Style of Palestrina : focused on the melody and the liturgical text of 「Missa Papae Marcelli」
- 박순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6.
- J. S. Bach 의 B단조 미사곡 (BWV232)에 관한 분석적 연구
- 권숙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
7.
-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위한 미사곡
- 이소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8.
- 한국 가톨릭 전례음악의 토착화에 대한 연구 : 국악미사곡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culturation of Liturgical Music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 황난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
9.
- W. A. Mozart 초기 미사곡에 사용된 표현과 양식 비교 연구 : “대관식 미사곡” KV 317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Expression and Style in W. A. Mozart’s Early Masses : focused on “Coronation Mass” KV 317
- 김한신,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2]
-
10.
- 1960년 이후에 작곡된 한국 작곡가의 가톨릭 통상 미사곡 현황 조사 연구 : 현재 가톨릭 서점에서 유통되는 통상 미사곡을 중심으로
- 이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