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466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미술사 감상 수업 지도를 위한 키트 개발 연구 : 한국 미술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kits for teaching appreciation of art history : focused on Korean art history
- 김민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2.
- 20세기 미술사 방법론으로서의 양식론 연구
- 김나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3.
- 신미술사 담론으로 읽는 파편적 신체와 물질성의 표상 : 부르주아, 헤세, 쿠사마의 196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 김세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
4.
- 미술사적 이미지의 차용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공중정원>과 <파노라마> 연작들을 중심으로
- 박혜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
5.
- “미술사의 종말” 이후 이미지학(Bildwissenschaft)의 학제적 문제 연구 : 한스 벨팅(Hans Belting)의 “이미지 인류학(Bild-Anthropologie)”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중심으로
- 장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
6.
-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에 관한 연구
- 홍미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
7.
- 미술사 지식 나눔 동영상을 활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 문화콘텐츠계열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for art Appreciation Using Movie Clips on Knowledge-sharing of Art History : Focused on Vocational High Schools in Cutural Content Fields
- 박지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
8.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사 지도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rt History Instructions by Using Storytelling
- 이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9.
- 미적 체험을 통한 미술사 교육 지도 방안
- 도현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10.
- 텅구(滕固, 1901-1941)의 중국미술사 연구
- 정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