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兒童의 家庭과 學校에서의 相互作用에 관한 硏究 : 社會階層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interaction style of children at home and at school : Focused on social class
- 민무숙,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4]
-
2.
- Relative effects of coeducation and single-sex schools on students' schooling, affection, and career choice : exploring conventional and feminist perspectives
- 민무숙,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1]
-
3.
-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이 학습자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윤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4.
- Relative effects of coeducation and single-sex schools on students' schooling, affection, and career choice : exploring conventional and feminist perspectives
- Min, Moo-suk, Univ. of Illinois, [1991]
-
5.
- 한국인 학생과 코슬림(Koslim: 한국 이주 무슬림 1.5세 & 2세) 학생의 상호문화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연구
- 윤미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6.
-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에 대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영향
- 김미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
7.
- 한국학생과 재인도네시아 한국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비교 = Comparison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between Korea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Indonesia
- 김영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
8.
- 교원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 최만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9.
-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ception on the gender difference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이경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
10.
- 초등학교 고학년의 외향성 및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방명자, 삼육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