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체계와 생활세계의 전달띠로서 법의 정당성
- 위민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2.
- 헤겔 미학에서 낭만적 예술형식의 전개과정 : 내적 주관성의 원리를 중심으로
- 김태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3.
- 기술적 매개의 발생적 조건 -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캐서린 헤일즈의 인지적 어셈블리지를 중심으로- :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캐서린 헤일즈의 인지적 어셈블리지를 중심으로 = Generative Conditions of the Technological Mediation - Focusing on Bruno Latour’s Actor-Network Theory and Katherine Hayles’s Cognitive Assemblage -
- 이현수, 전남대학교, [2023]
-
4.
- 아름다운 추의 가능성 : 추의 미학 중심으로
- 임명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
5.
- 총체성과 비판 : 아도르노의 심미적 총체성에 관하여 = Totality and Criticism
- 류도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
6.
- 벤야민의 철학에서 아우라 경험의 구제
- 박정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
7.
- 아도르노의 심미적 합리성
- 한유진, 전남대학교, [2020]
-
8.
- 헤겔 미학에서 자연미의 배제와 지양
- 문태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
9.
- 테일러의 진정성의 윤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aylor’s Ethic of Authenticity
- 전하나, 전남대학교, [2016]
-
10.
- 파산과 구제 : — 아도르노의 개인과 사회 개념에 대한 다차원적 해명 — = Liquidation and Redemption: A Multidimensional Explanation of Concepts of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 Adorno's Philosophy
- 강한, 전남대학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