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이승만의 위임통치론
- 권오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2.
- 고종의 친정체제 형성과 그 성격 = (The) formation of Go-Jong's direct government system and its character
- 최선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
3.
- 李沂의 敎育 思想 = (A) Study on the thought of Yi Gee(李沂) about thr new western learning(新學)
- 김재만,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4.
- 독립협회시기 선교사의 정치적 태도 :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를 중심으로 = Independence Club period missionary's political view about Underwood and Appenzeller
- 임선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
5.
- 한국 근현대의 표준시 변천과정 =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tandard time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 이형석, 전남대학교, [2015]
-
6.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남북관계 서술 비교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성찬, 전남대학교, [2018]
-
7.
- 일제 식민지시기 여성교육과 사회진출 = (The)education and social activity for wo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수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8.
- 일제침략기(1904~1910) 大垣丈夫의 활동과 보호국 인식 =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protection country of Mr. Oogaki Dake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1904~1910)
- 박지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9.
-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대성학교
- 임규홍,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10.
- 남북한 갑신정변 연구와 교과서 서술 비교 = Comparison of a study on the Gapsin Coup and Its Textbook Descrip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 민경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