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김지희,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21]
-
2.
- 초등학교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을 위해 도입된 교사 관찰·추천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조사
- 곽윤환,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3.
- 연근차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otus root tea
- 김순조, 성신여자대학교, [2010]
-
4.
- Geogebra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6학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n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Mathematical Instruction Using Geogebra for six graders
- 김효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5.
- 칸아카데미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및 칸아카데미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 The effects of using Khan Academy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김대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6.
-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raits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 최나희, 춘천교육대학교, [2018]
-
7.
- 녹차 음용 실태 및 음용 확대를 위한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age pattern of Green tea and analysis for its expansion factor
- 유진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10]
-
8.
- 거꾸로 수업이 비와 비율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Flipped-Learning on Learning Ration and Proportion
- 오혜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9.
- 시각적 표현이 비례식과 비례배분 학습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visual representation on learning proportional expression and distribution
- 손경훈, 춘천교육대학교, [2017]
-
10.
- <韓 style> 사업 도입을 통한 韓國 茶文化 발전 전략 연구 : 觀光産業 연계와 茶 行事를 중심으로 = (A)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tea culture through the business introduction of <Korean style> : centering around connection with sight-seeing industry and tea event
- 박세아, 성신여자대학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