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가 수록된 교재의 분석·연구
- 강신욱, 연세대학교, [2019]
-
2.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고려속요 교육방안 연구 : <가시리> 와 <서경별곡>을 중심으로
- 윤나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3.
- 고려가요의 장르적 특징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 : <가시리>와 <서경별곡>을 중심으로
- 김효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4.
- 20세기 초 근대극 삽입 가요의 번안 양상 연구
- 이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
5.
- 韓·中 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와 『보보경심(步步驚心)』 비교분석 :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 판위주, 연세대학교, [2019]
-
6.
- 「천희당시화」 연구 : 국시론의 양상과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 김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
7.
- 향가의 교육적 잠재성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 김미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8.
- 구비설화에 나타나는 보복형 살인담의 양상과 의미
- 이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
9.
- 근대 시가에 나타난 국가 표상 변천 과정 - 애국가, 의병가사, 애국계몽가사, 항일가요 등을 중심으로 - = The process of change in national representation in modern korean poetry and songs
- 이민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
10.
- 직소(jigsaw)Ⅳ모형을 활용한 문학과 문법 영역의 통합교수·학습 방법 연구 : <사미인곡>을 중심으로
- 남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