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자기조절능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이중매개효과
- 김진숙,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2.
-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 황지연, 안동대학교, [2019]
-
3.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매개효과
- 강병애,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4.
- 놀이를 활용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장은정,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5.
- 의미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목적수준, 스트레스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권점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6.
- 후기 아동기 자녀와 부모 관계에서의 수치심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Shame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Grounded Theory Study
- 강희영,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7.
- 부모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온라인 동영상 이용시간의 관계 :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홍현민,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8.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on Their Self-Esteem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 박명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9.
-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oderation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 박찬,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10.
- 의미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삶의 목적수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을 대상으로
- 남명희, 안동대학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