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작곡가 박재열의 《공간의 환상 4번》에 담긴 한국적 색채
- 이다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5]
-
2.
- 박재열 창작 OPERA "초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O-BOON" Composed by Park Chai-Yol
- 송순호,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
3.
- 아리랑 선율을 사용한 창작 합창곡에 관한 연구 : 함태균, 박재열, 허걸재를 중심으로
- 문베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4.
-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 나타난 신앙에 대한 인식적 접근 = Perception on the Problems of Faith in Emily Dickinson's Poetry
- 정혜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5.
- 월트 휘트먼과 힌두 사상
- 한명훈, 경북대학교, [1998]
-
6.
- 로버트 프로스트 시에 나타난 존재 = Existential Features in Robert Frost's Poetry
- 이효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7.
- T. S. 엘리엇의 성경시학 : 역사의 신화화 = T. S. Eliot's Biblical Poetics: the Mythification of History
- 김경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
8.
- 궨돌린 브룩스의 인종차별의 시적 수용방법 = Gwendolyn Brooks’ Poetic Methods of Accepting Racism
- 조유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9.
- 엘리자베스 비숍의 작품에 나타난 ‘발견’ = ‘Discovery’ in Elizabeth Bishop’s Poems
- 최윤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10.
- 西洋 音樂에 있어서 音樂形式에 關한 史的 硏究
- 박재수,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