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중학생들의 과학창의력 신장을 위한 발문지 개발 = (The) Development of question sheet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 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2.
- 중학교 과학 수행평가에서 학급별 수행평가 시행 시일 차에 따른 학업성취도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chievement and time interval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 최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3.
- 금성의 위상변화와 주전원의 이해를 위한 실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for Experimental Model for The Understanding The Phase of The Venus and The Epicycle theory
- 홍종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4.
- 중등 과학교사의 별에 관한 개념 분석 = Middle/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ptional understanding of the stars
- 이지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5.
- 천문과학관 프로그램과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curricula and programs of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 윤광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6.
- 初·中·高等學校 地球科學 敎育課程中 天文學 敎科內容의 連繫性에 對한 硏究 = (A) Study on the sequentialization of the astronomical content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 최천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
7.
- 측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변광성 TU UMi의 분류 = Phot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variable star TU UMi
- 조미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8.
- 지구의 모양, 크기 및 중력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개념 연구 =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 on the earth shape, size and gravity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 최미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9.
- 소형망원경을 이용한 산개성단 NGC 129 영역의 변광성 탐사 연구 = Search for new variable stars in open cluster NGC 129 with small telescope
- 이은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
10.
- δScuti형 변광성 21mon의 주기 분석 = Photometric study of δ Scuti type variable star 21 mon
- 백성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